웹에서 사용 가능한 이미지 파일 형식
JPEG (Joint Photographic Experts Group):
JPEG 이미지는 주로 사진이나 복잡한 그래픽을 표현할 때 사용. 그림 손실이 있긴 하지만, 보통은 무시할 정도로 작음.
PNG (Portable Network Graphics):
PNG 이미지는 투명 배경을 지원하며, 로스리스(무손실) 이미지 형식. 그래픽이나 아이콘 이미지에 주로 사용돼. 투명도와 이미지 품질을 유지하면서 파일 크기를 줄일 수 있음.
GIF (Graphics Interchange Format):
GIF 이미지는 주로 애니메이션 이미지를 만들 때 활용. 이미지 시퀀스를 지원하며, 256색 팔레트를 사용해 파일 크기를 작게 유지할 수 있음.
SVG (Scalable Vector Graphics):
SVG는 XML 기반의 벡터 이미지 형식이며, 크기를 조절해도 이미지 품질이 유지. 주로 아이콘, 로고, 그래픽에 사용.
WebP:
WebP는 Google에서 개발한 이미지 형식으로, 웹 페이지 로딩 속도를 개선하는 데 사용. 높은 압축률을 제공하면서 이미지 품질을 유지할 수 있음.
BMP (Bitmap):
BMP 이미지는 무손실 비트맵 이미지 형식이며, 큰 이미지 파일에 사용. 그러나 파일 크기가 크기 때문에 웹에서는 자주 사용되지 않음.
TIFF (Tagged Image File Format):
TIFF는 고해상도 이미지와 프로페셔널 그래픽을 저장하는 데 사용. 주로 인쇄 및 그래픽 디자인 분야에서 활용돼.
이렇게 다양한 이미지 형식을 통해 웹 페이지에서 다양한 그래픽을 사용하고 최적화할 수 있음.
이미지
웹페이지에 이미지를 삽입하는 경우, img tag를 사용한다.
특히 alt 태그는 사진에 대해 설명을 시각장애인 등에 읽어줄 수 있다. 이미지 파일에 대한 설명으로 이해하면 된다.
attributeDescription
src | 이미지 파일 경로 |
alt | 이미지 파일이 없을 경우 표시되는 문장 |
width | 이미지의 너비 (CSS에서 지정하는 것이 일반적) |
height | 이미지의 높이 (CSS에서 지정하는 것이 일반적) |
<!DOCTYPE html>
<html>
<body>
<img src="assets/images/doug.jpg" alt="doug" width="100">
<img src="assets/images/wrongname.gif" alt="이미지가 없습니다.">
</body>
</html>
<figure> 및 <figcaption> 태그는 이미지와 이미지 설명을 그룹화하고 정의하는 데 사용됩니다.
<figure>:
<figure> 태그는 웹 문서 내에서 그림, 도표, 사진, 코드 블록 등과 같은 콘텐츠 요소를 그룹화하는데 사용됩니다. 이것은 콘텐츠와 해당 설명(콘텐츠의 캡션)을 함께 묶어줍니다.
예시 코드:
<figure>
<img src="image.jpg" alt="아름다운 풍경">
<figcaption>해변가에서 일몰을 감상하는 풍경</figcaption>
</figure>
<figcaption>:
<figcaption> 태그는 <figure> 태그 내에서 이미지나 다른 콘텐츠에 대한 설명을 제공하는데 사용됩니다. 이것은 그림이나 다른 콘텐츠 요소의 캡션을 정의합니다.
예시 코드:
<figure>
<img src="image.jpg" alt="아름다운 풍경">
<figcaption>해변가에서 일몰을 감상하는 풍경</figcaption>
</figure>
위의 예시 코드에서 <figure>은 이미지와 해당 설명(캡션)을 그룹화하고 있습니다. 이미지에 대한 설명은 <figcaption> 태그로 제공되며, 이를 통해 웹 페이지에서 이미지와 설명을 의미적으로 관련짓고 스타일링할 수 있습니다.
웹에서 사용되는 비디오와 오디오 파일 형식에 대한 설명
비디오 파일 형식:
웹에서 비디오를 표현하려면 다양한 비디오 파일 형식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. 가장 널리 사용되는 비디오 파일 형식:
MP4 (MPEG-4 Part 14):
MP4는 웹에서 가장 흔하게 사용되는 비디오 파일 형식 중 하나로, 높은 압축률과 높은 품질을 제공. 대부분의 브라우저에서 MP4 비디오를 지원하므로 크로스 플랫폼 호환성이 좋음.
WebM:
WebM은 오픈 소스 비디오 파일 형식으로, 무료로 사용할 수 있으며 고품질 비디오 스트리밍을 지원. 웹M 형식은 VP8 또는 VP9 비디오 코덱을 사용하여 압축된 비디오를 제공.
Ogg:
Ogg 비디오 파일 형식은 자유로운 소프트웨어 Ogg 컨테이너 형식을 사용하여 비디오를 저장. 이 형식은 브라우저 호환성을 위해 사용되는 경우가 있지만 MP4와 WebM에 비해 덜 널리 사용.
오디오 파일 형식:
웹에서 오디오를 표현하기 위한 주요 오디오 파일 형식
MP3 (MPEG Audio Layer III):
MP3는 오디오 파일 형식으로 널리 사용되며, 높은 압축률로 음악 및 오디오 스트림을 저장. 대부분의 브라우저에서 MP3 오디오를 지원.
AAC (Advanced Audio Coding):
AAC는 더 효율적인 압축을 제공하는 오디오 파일 형식으로, 고품질 오디오를 제공. 대부분의 모던 브라우저는 AAC 오디오를 지원.
OGG Vorbis:
Ogg Vorbis는 공개 도메인 오디오 코덱을 사용하여 오디오를 저장하는 무료 형식. 브라우저 호환성을 위해 사용
WAV (Waveform Audio File Format):
WAV는 비압축 오디오 파일 형식으로, 높은 품질의 오디오를 저장. WAV 파일은 대부분의 브라우저에서 지원.
FLAC (Free Lossless Audio Codec):
FLAC는 무손실 압축 오디오 파일 형식으로, 고품질 오디오를 제공하면서 파일 크기를 줄임. 몇몇 브라우저에서 FLAC 오디오를 지원.
audio
audio 태그는 HTML5에서 새롭게 추가된 태그이다. IE8 이하에서는 사용할 수 없다.
attributeDescription
src | 음악 파일 경로 |
preload | 재생 전에 음악 파일을 모두 불러올 것인지 지정 |
autoplay | 음악 파일을 자동의 재생 개시할 것인지 지정 |
loop | 음악을 반복할 것인지 지정 |
controls | 음악 재생 도구를 표시할 것인지 지정. 재생 도구의 외관은 브라우저마다 차이가 있다. |
<!DOCTYPE html>
<html>
<body>
<audio src="assets/audio/Kalimba.mp3" controls></audio>
</body>
</html>
웹브라우저 별로 지원하는 음악 파일 형식이 다르다. 파일 형식에 따라 재생되지 않는 브라우저가 존재한다는 뜻이다.
BrowserMP3WavOgg
Internet Explorer | YES | NO | NO |
Chrome | YES | YES | YES |
Firefox | YES(24~) | YES | YES |
Safari | YES | YES | NO |
Opera | YES(25~) | YES | YES |
source 태그를 사용하여 파일 형식의 차이 문제를 해결 할 수 있다. type 어트리뷰트는 생략 가능하다.
<!DOCTYPE html>
<html>
<body>
<audio controls>
<source src="assets/audio/Kalimba.mp3" type="audio/mpeg">
<source src="assets/audio/Kalimba.ogg" type="audio/ogg">
</audio>
</body>
</html>
비디오
video 태그는 HTML5에서 새롭게 추가된 태그이다. IE8 이하에서는 사용할 수 없다.
src | 동영상 파일 경로 |
poster | 동영상 준비 중에 표시될 이미지 파일 경로 |
preload | 재생 전에 동영상 파일을 모두 불러올 것인지 지정 |
autoplay | 동영상 파일을 자동의 재생 개시할 것인지 지정 |
loop | 동영상을 반복할 것인지 지정 |
controls | 동영상 재생 도구를 표시할 것인지 지정. 재생 도구의 외관은 브라우저마다 차이가 있다. |
width | 동영상의 너비를 지정 |
height | 동영상의 높이를 지정 |
audio 태그와 마찬가지로 파일 형식의 차이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. source 태그를 사용하여 형식 차이 문제를 해결한다. type 어트리뷰트는 생략 가능하다.
Browser MP4 WebM Ogv
Internet Explorer | YES | NO | NO |
Chrome | YES | YES | YES |
Firefox | YES(21~) | YES | YES |
Safari | YES | NO | NO |
Opera | YES(25~) | YES | YES |
<!DOCTYPE html>
<html>
<body>
<video width="640" height="360" controls>
<source src="assets/video/wildlife.mp4" type="video/mp4">
<source src="assets/video/wildlife.webm" type="video/webm">
</video>
</body>
</html>
<track> 태그를 사용하여 비디오 파일에 자막 추가
자막 파일은 보통 WebVTT (WebVTT subtitle) 형식. 다음은 자막을 비디오에 추가하는 방법과 예시 코드:
자막 파일 생성: 보통 .vtt 확장자를 가지며, 웹VTT 형식을 따름. 예를 들어, "subtitle.vtt"라는 파일을 만들 수 있음.
"subtitle.vtt" 파일 내용 예시:
00:00:00.000 --> 00:00:05.000
안녕하세요, 환영합니다.
00:00:06.000 --> 00:00:10.000
이 비디오에 자막을 추가했습니다.
00:00:11.000 --> 00:00:15.000
즐거운 시청되세요!
비디오 태그에 <track> 추가:
이제 비디오 파일에 자막을 추가하려면 <track> 태그를 사용 <video> 태그 내에 <track> 태그를 추가하고 src 속성을 통해 자막 파일의 경로를 지정.
예시 코드:
<video controls>
<source src="video.mp4" type="video/mp4">
<track src="subtitle.vtt" kind="subtitles" label="한국어" srclang="ko" default>
<!-- 다른 비디오 소스 (옵션) -->
</video>
위의 코드에서:
- <track> 태그는 자막 파일인 "subtitle.vtt"를 지정.
- kind="subtitles"는 이 자막이 자막임을 나타냄.
- label="한국어"는 사용자에게 표시되는 자막 표시 이름.
- srclang="ko"는 자막 언어를 나타냄.
- default는 자막을 기본으로 표시하도록 설정.
이렇게 하면 비디오에 자막이 추가되어 사용자가 자막을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할 수 있음.
'HTML' 카테고리의 다른 글
HTML - 공간분할 (0) | 2023.10.19 |
---|---|
HTML - Form Tag (0) | 2023.10.19 |
HTML - 목록과 표 (0) | 2023.10.18 |
HTML - 하이퍼링크 (0) | 2023.10.18 |
HTML - 텍스트 관련 태그 (0) | 2023.10.18 |